청년사범 17학년도 9월 모평 독 짓는 늙은이 - 소설에서 거리감
질문
17학년도 9월 모평 독 짓는 늙은이
A부분
다음에 송 영감이 정신이 든 것은 아주 어두운 속에서 애가 흔들어 깨워서였다. 울먹이던 애가 깨나는 아버지를 보고 그제야 안심된 듯이 저쪽에서 밥그릇을 가져다 아버지 앞에 놓았다. 웬 거냐고 하니까 애가, 앵두나뭇집 할머니가 주더라고 한다. 송 영감은 확 분노가 치밀어, 누가 거랑질해 오라더냐고 밥그릇을 밀쳐 놓자 애가 훌쩍훌쩍 울기 시작했다. 송 영감은 아침에 어제의 저녁밥 남은 것을 조금 뜨는 것처럼 하고는 하루 종일 아무것도 입에 대지 않은 것을 생각하고는, 애도 아직 저녁을 못 먹었을지 모른다고 밥그릇을 도로 끌어다 한 술 입에 떠넣으며 이번에는 애보고, 맛있으니 너도 먹으라는 것이었으나, 자신은 입맛을 잃은 탓만도 아닌 무엇이 밥 넘기려는 목을 치밀어 올라오곤 해, 좀처럼 밥을 넘길 수가 없었다.
23. [A]의 서술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시간의 흐름을 단계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갈등이 해소되는과정을 부각하고 있다.
② 인물 간의 대화에 서술자가 개입함으로써, 인물에 대한 서술자의 평가를 제시하고 있다.
③ 새로운 인물이 다른 인물의 발화를 통해 등장함으로써, 인물간의 대립 구도가 전환되고 있다.
④ 서술자가 인물의 분노를 직접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상황에대한 인물의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⑤ 인물들의 심리 상태를 공간적 거리와 결부하여 서술함으로써, 인물 간의 심리적 거리감을 보여 주고 있다.
학생 질문
답 5번 왜 안 되는가?
밥그릇 밀쳐 놓는 것 나오는데?
해설
A부분의 서술은
아이와 영감 사이의 심리적 거리를 서술한 것이 아니라,
A전후의 상황을 보면
영감이 "아내+조수"에 대한 분노를 드러낸 것이다.
중간에 아이의 밥그릇을 밀쳐 내는 부분은
아이가 싫어서가 아니고
괜히 아이에게 분풀이하는 것이다.
그래서 잠시 뒤에 죄 없는 아이의 처지를 생각하고 괜히 미안해져서 아이에게도 밥 한 술 권하는 것이다.
5번
인물들의 심리 상태를 공간적 거리와 결부하여 서술함으로써, 인물 간의 심리적 거리감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런 것을 서술한 부분을 아래 소설에서 찾아봅시다.
참고로 심리적거리감은 서로서로 싫어하는 경우도 있고
아니면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일방적으로 불편해하거나 싫어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07 06 이문열 금시조
12 06 오영수 화산댁이
17 06 염상섭 삼대
또한, 재미있게도 심리적 거리감이 너무 심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물리적 거리를 좁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6 수능 박완서 나목
시간이 지나면서 거리감을 점점 좁히는 경우도 있고요.
03 모평 황석영 삼포 가는 길
지문에서 직접 찾아보는 재미를 느끼시길.
ㅎㅇㅌ
평가원 기출문제 17 09 다운로드
수능, 평가원 기출문제 모음 현대소설, 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