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9학년도 9월 평가원 문법 14번
중세국어, 높임법
문제
14. <보기>의 ㉠과 ㉡에 들어갈 말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보 기>
중세 국어에서는 객체를 높이기 위해 선어말 어미를 사용
했는데, 이 선어말 어미는 음운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현되었다.
어간 말음 조건 형태 용례
‘ㄱ, ㅂ, ㅅ, ㅎ’일 때 - - 돕 고
‘ㄷ, ㅈ, ㅊ’일 때 - - 묻 고
모음이나 ‘ㄴ, ㅁ, ㄹ’일 때 - - 보 고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는 ‘- -, - -, - -’으로 실현
되었다.
∙ 아래 문장에서 객체 높임의 대상은 ( ㉠ )이다.
- 王(왕)이 부텻긔 더옥 敬信(경신) 내
[왕이 부처께 더욱 공경하고 믿는 마음을 내어]
∙ 어간 ‘듣-’과 어미 ‘- 며’ 사이에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가
결합하면 다음과 같이 활용했다.
- 내 아래브터 부텻긔 이런 마 몯 ( ㉡ )
[내가 예전부터 부처께 이런 말을 못 들으며]
㉠ ㉡
① 王(왕) 듣며
② 王(왕) 듣 며
③ 부텨 듣며
④ 부텨 듣 며
⑤ 듣 며
청년사범 해설
중세 국어 문제 나오면
늘 현대 국어 해석이랑 비교하면서 볼 것.
현대 국어 문장을 보면,
왕이 부처께 더욱 공경하고 믿는 마음을 내어
따라서 객체 높임 대상은?
주체 높임은 주어 높이는 것
상대 높임은 청자 높이는 것
객체 높임은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임.
"부처"를 높이고 있음.
따라서 답은 3번이나 4번 중 하나.
어간 ‘듣-’과 어미 ‘- 며’ 사이에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가 결합하면 다음과 같이 활용했다.
라고 했으므로
우선
"듣다"의 어간 듣-의 말음은 ㄷ이므로
‘ㄷ, ㅈ, ㅊ’일 때에 해당함.
그런데 이미 3, 4번은 ㅈ형태이므로 도움이 안 됨.
그 다음
순경음 ㅂ인지 그냥 ㅂ인지 골라야 하는데
표 바로 아래 있는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는 ‘- -, - -, - -’으로 실현되었다.
참고하면
이어 적기 고려해서
답은 3번
카카오톡
청년사범 수능국어
국어 질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