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 03 고1
[21~2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최근 예술 분야에서는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등장한 예술의 하나가 바로 ‘㉠엑스레이 아트(X-ray Art)’이다. 엑스레이 아트는 엑스레이 사진을 활용하여 만든 예술 작품을 의미한다.
엑스레이 아트의 거장인 닉 베세이는 엑스레이를 활용하여 오브제* 내부에 ⓑ주목한 작품을 만들었다. 그는 「튤립」이라는 작품을 통해 꽃봉오리에 감추어진 암술과 수술을 드러냄으로써, 꽃의 보이지 않는 내부의 아름다움을 탐색하였다. 또한 「셀피」라는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의 외모 지상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이 작품은 자기 얼굴을 찍는 사람의 모습을 엑스레이로 촬영한 것으로, 엑스레이로 인체를 촬영할 경우 외양이 드러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창작 의도를 나타낸 것이다.
엑스레이 아트의 창작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오브제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는 오브제의 재질과 두께에 따라 엑스레이의 투과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엑스레이 아트에서는 엑스레이가 투과되지 않는 물질이 포함된 오브제를 배제하기도 하고, 역으로 이를 활용하기도 한다. 촬영을 할 때에는 오브제의 두께에 따라 엑스레이의 강도와 오브제에 엑스레이가 투과되는 시간을 조절해야 의도하는 명도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오브제와 근접한 거리에서 촬영해야 하는 엑스레이의 특성상, 가로 35cm, 세로 43cm인 엑스레이 필름의 크기보다 오브제가 클 경우 오브제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서 촬영한다. 한편 작품 창작 의도를 구현하는 데 오브제의 모든 구성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면 오브제의 일부 구성 요소만 선택하여 창작 의도를 드러낼 수도 있다. 그리고 오브제가 겹쳐 있을 경우, 창작 의도와 다른 사진이 나올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오브제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촬영 각도를 결정한다.
이렇게 촬영한 엑스레이 사진은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거치는데, 창작 의도를 드러내기 위해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하기도 한다. 특히 항공기 동체와 같이 크기가 큰 대상을 오브제로 삼아 여러 날에 걸쳐 촬영할 경우, 촬영할 당시의 기온, 습도 등의 영향으로 각각의 사진들마다 명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래픽 작업을 통해 사진들의 명도를 보정한 뒤, 이 사진들을 퍼즐처럼 맞추어 하나의 사진으로 합성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엑스레이는 대상의 골격이나 구조를 노출하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차가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를 활용한 엑스레이 아트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감상자들에게 기존의 예술 작품과는 다른 미적 감수성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현대 예술의 외연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브제(objet):일상 용품이나 물건을 본래의 용도로 쓰지 않고 예술 작품에 사용하는 기법 또는 그 물체.
21.윗글에서 언급된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엑스레이 아트의 개념
② 엑스레이 아트의 작품 사례
③ 엑스레이 아트의 창작 방법
④ 엑스레이 아트의 등장 배경
⑤ 엑스레이 아트의 발전 양상
22.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의 작품에 대해 보인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
< 보 기 > |
|
||
|
|
|||
|
「버스」는 실제 버스와 사람을 오브제로 삼아, 이를 여러 날에 걸쳐 각각 촬영한 뒤 합성한 엑스레이 아트이다. 작가는 작품의 창작 의도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바퀴나 차체 등의 일부 구성 요소들만 선택하였다. 그리고 버스의 측면이 보이도록 촬영하여 버스에 타고 있는 사람들의 여러 가지 자세와 인체 골격의 다양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
|
||
|
①물체를 투과하는 엑스레이를 이용한 것은 일상적 시선으로는 볼 수 없는 인체 골격의 모습을 보여 주려는 의도였겠군.
②바퀴나 차체 등의 일부 구성 요소만 선택한 것에는 필요하지 않은 부분을 배제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겠군.
③버스의 측면이 보이도록 촬영한 것은 촬영 각도에 따라 엑스레이가 투과되지 않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겠군.
④작품이 한 번에 촬영한 사진처럼 보이는 것은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각 사진의 명도를 보정한 결과이겠군.
⑤엑스레이 필름보다 큰 실제 크기의 오브제를 선정하였기 때문에 촬영한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한 것이겠군.
23.㉠의 의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오브제를 찍은 사진에 의도적인 변형을 가하여 오브제의 실체를 감추는 예술이다.
②실존하지 않는 대상을 그래픽 작업으로 만들어 사회의 병폐를 풍자하는 예술이다.
③인체나 사물의 외양을 있는 그대로 드러냄으로써 아름다움의 의미를 구현하는 예술이다.
④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오브제를 가시화하여 대상의 본질에 대해 탐색하는 예술이다.
⑤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오브제의 내부를 의도적으로 보여 주어 예술의 영역을 확장한 예술이다.
24.ⓐ~ⓔ의 사전적 의미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새로운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생각을 내어놓음.
② ⓑ:관심을 가지고 주의 깊게 살핌.
③ ⓒ:어떤 내용이 구체적인 사실로 나타나게 함.
④ ⓓ:사람이나 물자 따위를 일정한 자리에 알맞게 나누어 둠.
⑤ ⓔ:도움이 되도록 이바지함.
21 |
⑤ |
22 |
③ |
23 |
⑤ |
24 |
① |
[21~24](예술) ‘엑스레이 아트’
엑스레이 사진을 활용하여 만든 예술 작품을 의미하는 엑스레이 아트를 소개하고 있는 글이다. 엑스레이 아트의 거장인 닉 베세이는 엑스레이를 활용하여 오브제 내부에 주목한 작품을 만들었다. 또한 작품을 통해 현대 사회의 외모 지상주의를 비판하기도 했다. 엑스레이 아트의 창작 의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재질, 두께, 크기 등의 오브제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엑스레이로 촬영된 사진은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거치는데, 창작 의도를 드러내기 위해 여러 장의 사진을 합성하기도 한다. 엑스레이 아트는 발상의 전환을 통해 감상자들에게 기존의 예술 작품과는 다른 미적 감수성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현대 예술의 외연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1.[출제의도] 글의 내용을 이해한다.
5문단에서 엑스레이 아트의 의의에 대해 언급하고 있을 뿐, 엑스레이 아트의 발전 양상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오답풀이] ① 1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② 2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③ 3, 4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④ 1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22.[출제의도] 글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료를 해석한다.
엑스레이가 투과되지 않는 효과를 이용하는 것은 오브제의 재질과 두께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보기>에서 버스의 측면이 보이도록 촬영한 것은 인체 골격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촬영 각도에 따라 엑스레이가 투과되지 않는 효과를 이용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오답풀이] ① 엑스레이 아트는 물체를 투과하는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창작된 작품이다. 이러한 엑스레이의 특성을 이용해 일상적 시선으로는 볼 수 없는 버스 내부에 있는 사람들의 골격을 드러내고 있다. ② 작가는 작품의 창작 의도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바퀴나 차체 등의 일부 구성 요소들만 선택하였다. 즉 창작 의도를 구현하는 데 오브제의 모든 구성 요소가 필요하지 않아 불필요한 부분을 배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④, ⑤ 엑스레이 필름보다 큰 실제 크기의 버스와 사람을 오브제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여러 장의 사진으로 촬영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여러 장의 사진으로 촬영한 사진이 한 번에 촬영한 사진처럼 보이는 것은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각 사진의 명도를 보정하고 퍼즐처럼 맞추어 합성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23.[출제의도] 글의 핵심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엑스레이 아트는 오브제의 골격이나 구조를 노출하는 기술로, 드러나지 않는 오브제 내부에 주목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는 점을 이용하여 창작 의도를 드러낸다. 특히 기존의 예술 작품과는 다른 미적 감수성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현대 예술의 외연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로 보아 엑스레이 아트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오브제 내부를 의도적으로 보여 주어 예술의 영역을 확장한 예술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24.[출제의도]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파악한다.
‘새로운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생각을 내어놓음.’을 뜻하는 말은 ‘개발’이다. ‘개척’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영역, 운명, 진로 따위를 처음으로 열어 나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