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9 03 고1
11.다음은 학생들이 ‘-쟁이’와 ‘-장이’에 대해 탐구한 내용이다. ㄱ~ㅁ에 제시된 탐구 결과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탐구 목표 |
어근의 뒤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접미사 중 ‘-쟁이’와 ‘-장이’의 의미와 쓰임을 구분해 사용할 수 있다. |
|
|
탐구 자료 |
(1)고집쟁이:고집이 센 사람. (2)노래쟁이:‘가수(歌手)’를 낮잡아 이르는 말. 그림쟁이:‘화가(畫家)’를 낮잡아 이르는 말. (3)땜장이:땜질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
|
탐구 결과 |
◦(1)의 ‘-쟁이’의 의미는 ‘어떤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으로 볼 수 있다. ㄱ ◦(2)와 (3)은 둘 다 직업과 관련된 말이지만, ‘기술자’를 의미할 때는 ‘-장이’를 쓴다. ㄴ ◦(1)~(3)을 볼 때, ‘-쟁이’와 ‘-장이’는 모두 명사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 ㄷ ◦(1)~(3)을 볼 때, ‘-쟁이’와 ‘-장이’는 모두 어근의 품사를 변화시키지 않는 접미사이다. ㄹ ◦(1), (2), (3)의 예로 ‘욕심쟁이’, ‘대장쟁이’, ‘중매장이’를 각각 추가할 수 있다. ㅁ |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19 03 고1
[12~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대화1>
<자료>
관형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로, 품사 가운데 명사나 대명사와 같은 체언 앞에서 그 뜻을 꾸며 주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모든 책’의 ‘모든’은 뒤에 오는 명사 ‘책’에 ‘빠짐이나 남김이 없이 전부의.’라는 의미를 더해 주는 관형어이다.
다음 문장들의 밑줄 친 부분은 모두 관형어이다.
ㄱ.선생님의 목소리가 들린다.
ㄴ.마실 물이 있다.
맑은 물이 있다.
ㄷ.온갖 꽃이 활짝 피어 있다.
ㄱ은 체언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관형어가 된 경우이다. ‘선생님의’는 명사 ‘선생님’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목소리’를 꾸며 주고 있다. 이 경우 ‘선생님 목소리’와 같이 관형격 조사 없이 명사만으로도 관형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관형격 조사 ‘의’를 반드시 써야 하는 경우가 있고, ‘의’가 생략되면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ㄴ은 동사나 형용사와 같은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으)ㄴ’, ‘-(으)ㄹ’ 등이 결합하여 관형어가 된 경우이다. ‘마실’은 동사의 어간 ‘마시-’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하여 ‘물’을 꾸며 주고 있고, ‘맑은’은 형용사의 어간 ‘맑-’에 관형사형 어미 ‘-은’이 결합하여 ‘물’을 꾸며 주고 있다.
ㄷ은 관형사가 관형어가 된 경우이다. 관형사는 체언 앞에서 체언의 뜻을 꾸며 주는 품사이다. 관형사 ‘온갖’은 명사 ‘꽃’을 꾸며 주며 ‘이런저런 여러 가지의.’라는 의미를 더해 주고 있다. 관형사는 체언과 달리 조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용언과 달리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대화2>
12.[A], [B]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A] [B]
① 품사가 무엇인가 의미가 무엇인가
② 품사가 무엇인가 문장 성분이 무엇인가
③ 문장 성분이 무엇인가 문장의 종류가 무엇인가
④ 문장의 종류가 무엇인가 의미가 무엇인가
⑤ 문장의 종류가 무엇인가 문장 성분이 무엇인가
13.윗글을 참고하여 <보기>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 보 기 > |
|
||
|
|
|||
|
|
|||
|
①a~d는 모두 체언 ‘친구’를 꾸며 주는 역할을 한다.
②a는 조사가 없이 체언만으로 관형어가 된 경우이다.
③b는 용언의 어간 ‘예쁘-’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된 것이다.
④c에서 관형격 조사 ‘의’가 생략되어도 문장의 원래 의미가 달라지지 않는다.
⑤d는 조사가 결합할 수 없으며 활용이 불가능하다.
19 03 고1
14.<보기>의 ‘활동1’과 ‘활동2’를 연결하여 ‘활동 자료’의 단어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
<보기> |
|
||
|
|
|||
|
[활동 자료] 국민[궁민], 글눈[글룬], 명랑[명낭], 신랑[실랑], 잡념[잠념]
[활동1]음운 변동이 있는 음운은 ‘1’, 없는 음운은 ‘0’으로 표시하면 ‘국물[궁물]’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활동 자료’의 단어는 어떻게 표시될까요? [활동2]‘활동 자료’의 단어를 발음할 때 순행 동화가 일어나는지 역행 동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봅시다. ◦순행 동화:뒤의 음운이 앞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역행 동화:앞의 음운이 뒤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
|
||
|
① ‘국민’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순행 동화이다.
② ‘글눈’은 ‘0001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③ ‘명랑’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순행 동화이다.
④ ‘신랑’은 ‘0001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⑤ ‘잡념’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19 03 고1
15.<보기>의 [A]~[C]에 들어갈 예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
< 보 기 > |
|
||
|
|
|||
|
◦ㄱ~ㄷ은 높임 표현이 사용된 문장들이다. 아래의 순서도에 따라 ㄱ~ㄷ을 분류해 보자. |
|
||
|
|
[A] |
[B] |
[C] |
① |
ㄱ |
ㄴ |
ㄷ |
② |
ㄱ |
ㄷ |
ㄴ |
③ |
ㄴ |
ㄱ |
ㄷ |
④ |
ㄴ |
ㄷ |
ㄱ |
⑤ |
ㄷ |
ㄴ |
ㄱ |
11 |
⑤ |
12 |
② |
13 |
④ |
14 |
⑤ |
15 |
① |
11.[출제의도] 단어의 의미와 쓰임을 이해한다.
제시된 자료를 통해 ‘-쟁이’는 어떤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이나 그런 사람을 낮잡아 이를 때 쓰이는 말이고, ‘-장이’는 ‘관련된 기술을 가진 기술자’의 뜻일 때 붙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ㅁ에서 ‘대장쟁이’는 수공업적인 방법으로 쇠를 달구어 연장 따위를 다루는 일인 ‘대장일’을 하는 ‘기술자’를 의미하므로 ‘-장이’가 붙고 ‘중매장이’는 결혼이 이루어지도록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인 ‘중매’를 하는 사람을 의미하므로 ‘-쟁이’가 붙는다. 따라서 (1), (2), (3)의 예로 ‘욕심쟁이, 중매쟁이, 대장장이’를 추가할 수 있다.
[오답풀이] ③ 자료 (1)~(3)에서 ‘-쟁이’와 ‘-장이’는 ‘고집, 거짓말, 노래, 그림, 땜, 옹기’의 명사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 ④ 자료 (1)~(3)에서 ‘-쟁이’와 ‘-장이’는 명사인 ‘고집, 거짓말, 노래, 그림, 땜, 옹기’와 결합하여 ‘고집쟁이, 거짓말쟁이, 노래쟁이, 그림쟁이, 땜장이, 옹기장이’의 단어를 만들었다. 결합 전후를 비교할 때 품사는 변화하지 않는다.
12.[출제의도] 관형사와 관형어의 분류 기준을 이해한다.
품사는 단어를 의미, 형태, 기능으로 분류한 갈래를 의미한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단어의 품사를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로 분류한다. 문장 성분은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주성분에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고, 부속 성분에 관형어, 부사어가 있으며, 독립 성분에 독립어가 있다. <자료>의 1문단은 관형어가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 즉 문장 성분에 따라 분류된 것임을 밝히고, ‘체언 앞에서 그 뜻을 꾸며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자료>의 5문단은 관형사에 대해 ‘체언 앞에서 체언의 뜻을 꾸며주는 품사’라고 정의하면서, 관형사가 품사에 따른 분류임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관형사의 특성으로서 조사와 결합하지 않는다는 점과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13.[출제의도] 관형어의 다양한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c에서 ‘남자의 친구’는 ‘성별이 남자인 이와 친구 관계에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의’를 생략하여 ‘남자 친구’가 되면, ‘성별이 남자인 친구’나 ‘이성 교제의 대상으로서의 남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어 의미에 변화가 생긴다.
[오답풀이] ① a~d는 체언 ‘친구’를 꾸며 주어 어떠한 친구가 여기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주고 있다. ② 체언 ‘고향’은 관형격 조사 ‘의’ 없이 체언 ‘친구’를 꾸며 주고 있으므로 관형어로 볼 수 있다. ③ ‘예쁜’의 기본형은 ‘예쁘다’로, 어간 ‘예쁘-’에 관형사형 어미가 결합하여 ‘예쁜’, ‘예쁠’ 등의 관형어를 만들 수 있다. ⑤ ‘옛’은 ‘친구’의 의미를 꾸며주면서 조사가 결합하지 않고 활용이 불가능한 단어이므로 관형사가 관형어가 된 경우로 볼 수 있다.
14.[출제의도] 음운 동화의 특징을 탐구한다.
‘활동1’과 ‘활동2’에 따르면 ‘000100’로 표시하는 경우는 순행 동화이고 ‘001000’으로 표시하는 경우는 역행 동화이다. ‘활동 자료’의 발음을 바탕으로 단어를 숫자로 표시하면 ‘잡념[잠념]’은 ‘001000’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이는 역행 동화에 해당한다.
[오답풀이] ① ‘국민’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② ‘글눈’은 ‘0001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순행 동화이다. ③ ‘명랑’은 ‘0001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순행 동화이다. ④ ‘신랑’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15.[출제의도] 높임법의 유형을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보기>에 제시된 문장들에서 ㄱ은 부사격 조사 ‘께’와 서술어 ‘드리다’를 활용하여 객체인 ‘할아버지’를 높이고 있고, ㄴ은 주격 조사 ‘께서’와 서술어 ‘계시다’를 활용하여 주체인 ‘할아버지’를 높이고 있고, ㄷ은 주격 조사 ‘께서’와 서술어 ‘가시다’를 활용해서는 주체인 ‘어머니’를 높이고, 서술어 ‘모시다’를 활용해서는 객체인 ‘할아버지’를 높이고 있다. 따라서 객체 높임법만 사용된 문장은 ㄱ, 주체 높임법만 사용된 문장은 ㄴ, 객체 높임법과 주체 높임법이 모두 사용된 문장은 ㄷ임을 알 수 있다.